젠트리피케이션-젠트리피케이션(김현아,서정렬)
<젠트리피케이션, 김현아,서정렬> 인용
젠트리피케이션 용어 탄생
-독일 태생의 여성 영국 사회학자인 루스 글래스는 1964년 런던 서부에 위치한 첼시와 햄프레스테드 등 하층계급 주거지역이 재개발되면서 중산층 계층이 유입되는 것을 보고, 저소득층의 주거지를 빼앗는 중산층을 겨냥해 '젠트리피케이션'이라고 지칭했다.
하지만, 최근 부정적으로 등장한 젠트리피케이션이 탈이념화되고 있다.
젠트리피케이션 자체는 문제가 있는 현상이지만, 미국에서는 최근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용어가 긍정의 의미로 통요된다. 쫓겨나는 입장에서는 나쁜 것이지만, 공동화된 도심히 활성화되고 도시 회복의 기반이 확보된다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부분도 있는 것이다.
한국형 젠트리피케이션의 특징
-전셋값이 올라 임차인이 서울 이외의 대도시 외곽으로 주거지를 이동하는 사례(주거지 이동)
-상업 공간의 소위 뜨는 골목 상권에 사람들이 몰리고 그만큼 임대료가 상승하면서 임대료를 감당 못하고 내몰리는 상황 자체(상업공간)
1. 매스미디어 젠트리피케이션: 서울 임차인의 '탈서울' 현상 등에 대한 보도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젠트리피케이션이 확대 재생산 되고 있다.
2. 프랜차이즈 젠트리피케이션: 뜨는 골목으로 자본이 유입되면서 일어나는 '문화 백화현상'(독특함이 사라지는)과 연관된다. 명소화 과정을 통해, 도시 걷기로서의 보행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골목으로 오게 되면, 이는 매출 증가와 연관되고, 대형 자본의 유입을 촉발하게 된다.
3. 부동산 자산 젠트리피케이션: 부동산 투자에 좋은 것이 골목의 크지 않은 상가나 건물. 부동산 자산의 증식을 위한 투자로서 골목 상권에 집중하는 것.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점: 문화 백화현상
프랜차이즈는 표준화되고 획일화된 이미지와 탄탄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기본 수익 구조만 유지된다면 일정 기간 동안 부침없이 그 자리를 지킬 수 있다. 몰개성으로 오래 버틸 수 있다. 이런 프랜차이즈가 골목에 처음에는 한두개로 시작하지만, 골목 인기가 늘어날 수록 그 숫자가 더 많아진다.
-> 이를 막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소상공인들의 공감과 동질감을 바탕으로한 연대와 지자체 차원에서 법률적 지원.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서 골목을 지키는 것은 단순한 골목 상권의 보호를 넘어 도심 활성화를 통한 지자체의 도시 경쟁력 향상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골목은 도심의 문화복합공간이다. 도시가 도시화를 통해 성장해온 과정을 골목을 통해 살필 수 있다. 그 골목을 채운 예술가들의 작품을 볼 수 있기도 한다. 여기에 더해 다양한 볼거리, 먹거리들을 경험하고 체험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문화 백화현상에 빼앗긴다는 것은 도시의 정체성을 잃는 것과 다름없다.
골목의 문화력
골목은 그 자체로 콘텐츠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콘텐츠들이 복합 합체된 곳이 골목이다. 결국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만들고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문화콘텐츠를 한 곳에 모아 문화 복합 콘텐츠로 유명해진 회사와 사람이 있다. 바로 쓰타야(Tsutaya)서점과 이 서점을 만든 마스다 무네아키 대표이다. 쓰타야 서점은 2016년 현재 1400여 개의 매장을 갖고 있는 서점 프랜차이즈이다. 특징적인 것은 골목이 갖고 있고 유지해야 하거나 추구해야 할 문화복함공간의 가치를 비즈니스 모델로 가졌다는 점이다.
쓰타야 서점은 컬처컨비니언스클럽이 운영하는 서점이다. 일반 서점처럼 책만 파는 것이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을 파는 서점이다. 책이 필요한 사람들이 서점에 들러 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상품을 함께 구매한다. 음반, 영상콘텐츠, 커피, 음식은 기본이고 카메라, 세탁기 등 백색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다. 특이한 점은 상품 구성이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지역 특성에 맞춰 지점의 콘텐츠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레스토랑 공간도 서점 안에 마련되어 있다. 스타벅스 테라피가 떠오른다.
https://maps.app.goo.gl/1GzRG3xuRq28fVHX6
다이칸야마 츠타야 서점 · 일본 〒150-0033 Tokyo, Shibuya, Sarugakucho, 17−5 代官山T-SITE 1号館
★★★★★ · 서점
www.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