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위가 커졌다가 작아지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음.
공유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Ostrom의 방안은:
모든 행위자에게 의사결정에 참여할 권리는 주는 것이다.
감시하거나 행동을 컨트롤할 수 있는 사람들조차 권한을 받아야 한다.
국가 단위의 중앙집권은 로컬 단위의 집권보다 훨씬 poor 하다.
하지만 로컬 단위 역시도 더 쪼개져서, all users가 문제를 해결하는데 참여할 수 있어야 하고, 독립적일 수 있어야 한다.
국가 단위 중앙 집권-> 로컬 단위 집권-> 모든 사용자
그렇기에 다시 돌아와서, Ostrom은 ‘모든 행위자(모든 사용자)’에게 참여 권한을 주어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728x90
'영어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수능 영어 35번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 문제 해설 (0) | 2025.03.09 |
---|---|
22수능 영어 34번 지문 해설, 영어 공부 방법: 예습->수업->정리 (0) | 2025.03.06 |
2022 수능 영어 32번 지문 분석, 영어 모의고사 공부 방법 대 공개! (0) | 2025.02.17 |
수능 국어 필독) 2008 수능 언어 영역, <체스 판이 있는 정물- 오감> 지문 분석+ 재현에 대한 추가적 설명 + 국어 공부법 (0) | 2025.01.04 |
하루 영어) Pertain to/ relate to, underscore/ underline (0) | 2024.11.24 |